Projects
Park Cheonkang Architects

판타지의 건축적 원형

판타지 건축은 우리의 집단무의식을 반영한다. 꿈의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무의식이 욕망하는 바 그러나 현실에서는 거의 혹은 아예 불가능한 일들이라고 여겨지는 건축물들은 흔히 판타지 소설과 영화, 신화 등에 반복적으로 나타나곤 한다. 꿈의 건축물.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건축물.

 

신화, 판타지에는 어떤 건축 이미지들이 강박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날까?

 

어떤 건축물들이 수십만 년의 감정과 경험을 통해 우리의 무의식에 각인된 흥분을 다시금 꿈틀거리게 할까?

 

과거 마음의 진화과정을 통해 특정 건축적 형태/장소가 주는 감정이 우리의 집단무의식에 각인되어 있고, 이는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기억’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실제 지어졌고 지어지고 있는 건물들에서뿐 아니라 판타지 영화에서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트리 하우스는 반지의 제왕에서 엘프들이 사는 전형적인 주거의 형태이다. 또한 스타워즈의 이워크가 사는 집이기도 하다. 원숭이들이 사는 거주지이기도 하다. 서구의 경우, 어릴 적 아버지가 만들어준 나무 위 트리하우스는 은밀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비밀기지가 되기도 한다.

 

트리하우스는 나무 위에 지은 집이다. 정확히 얘기하면 거대한 나무의 가지들 사이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자연으로서의 나무에 인간의 가장 전형적인 주거의 상징적 형태인 박공 건물이 나무라는 재질로 들어가 얹혀지는 것이다.

tags: Writings

광주 도서관: the Vault

 

 

Sangmu Incinerator was built in 2001 to incinerate the waste from the city of Gwanju. This relatively short-lived facility will now be transformed into a cultural venue due to the consistant request from the citizens.

 

The site emcompassing the insinerator is surrounded by evergreens that got planted twenty years ago to disguise the facility, and now they have grown into a mature and dense forest. We suggest to maintain this forest and make use of it as a core elem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ite. This forest which is comprised mainly of pines and firs will become an outdoor extension of the library where people can read and relax. With this beautiful forest as a mediator, we propose the new program for the Sangmu Incinerator to be an a library focused on archiving and storages. As having the incinerator and the newly built library-the Vault as an anchor, the entire campus will become a cultural venue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xchange and a forum for debates; a “Library Campus”.

 

Generally, a library is one of the least commercial and most public civic program of our time. It’s open to everyone, and all the participants can find their own subject of interest in a free manner. Our library design tries to maximize the visitor experience that one can always find a preferrable spatial condition that suits one’s preference, personality or mood.

 

The library focused on creating various reading atmospheres from the most private to the most communal; Different ceiling heights, and number of groups, openness are created either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The main reading room is the biggest space within the building, and its enormous barrel vault the space will enhance the feeling of “together-ness” to Gwangju citizens.

 

The materials of the building is carefu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t and the library. The main interior material is wood which will provide a cozy and comfortable feeling while reading and will connect to the warm shades of the evergreen forest. The exterior will be made of black semi-circular tiles to give the library a stable and calm mood, while at the continuous loggia at the ground level, an open promanade for strolling and resting, will be made of wood as well to resonate with the softness inside.

 

The new library building will become a solid anchor to the community not only socially but also manifested spatially, and to become a forum of knowledge of the cultural city of Gwangju.

 

TYPE: 도서관 (신축 / 공모전)
YEAR: 2020
STATUS: NOT COMPLETED
LOCATION: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163
CLIENT: 광주광역시
DESIGN: HAPSA | 권경민 - 박천강

안데르센의 책장













안데르센은 동화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인류의 마음에 자리잡았다. 안데르센이 만든 세계의 구체적 형태의 모방보다는 전세계에 퍼져있는 안데르센의 수많은 사본을 읽을 수 있는 ‘정원 안의 도서관(Library in the Garden)’을 제안한다. 이 안에서는 문, 창문, 벽 등의 건축요소와 나무, 관목 등 조경요소가 다양한 스케일을 가지며, 어떤 곳에서는 모든 것이 커져 어른이 아이로 돌아간 것 같은 감정도, 또 다른 곳에서는 모든 것이 작아져 아이들도 마치 어른이 된 것 같은 감정도 느낄 수 있다. 이 곳은 조경과 건축이 엉켜있는 채로 있는 안데르센의 ‘어쩌면 있을 법한’ 세계이다. (각각의 상상을 통해 같은 조경도 특정 안데르센과 언제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의 관건은 특정 조경과 건축이 그 상상력의 통로로 여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는 일이다.). 여러 개의 다른 세계는 가운데의 (놓칠 수 없는) 짧은 길을 통해 모두 쉽게 연결되며, 이 밖에 각 세계는 또한 곳곳에 숨어있는 비밀 문을 통해 이어진다. 각 문들은 신비로움과 놀라움(이는 스케일의 차이와 조경의 차이를 통해 조작된다)의 통로가 된다. 벽의 창문들은 각각 다른 세계를 엿볼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도록 유혹한다.

TYPE: 박물관
YEAR: 2013
STATUS: NOT COMPLETED
LOCATION: 오덴세, 덴마크
CLIENT: 오덴세 시
DESIGN: 박천강, 최진규, 최장원, 구보배(조경), 김성희(조경)